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뮬러 1/2007시즌

덤프버전 :




1. 2007년 그랑프리
2. 시즌 전 이적 시장
3. 규정 변화
4. 2007 시즌 라인업
5. 2007 시즌 일정
6. 시즌 상세
6.1. 1R ~ 5R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호주, 말레이시아, 바레인, 스페인, 모나코)
6.2. 6R ~ 11R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캐나다, 미국, 프랑스, 영국, 유럽, 헝가리)
6.3. 12R ~ 17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터키, 이탈리아, 벨기에, 일본, 중국, 브라질)
7.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7.1. 드라이버 포인트
7.2. 컨스트럭터 포인트


1. 2007년 그랑프리[편집]


2007년 포뮬러 원 시즌은 58번째 FIA 포뮬러 원 시즌이다.이 시즌은 3월 18일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10월 21일 브라질 그랑프리 까지 총 17경기로 치러졌다. 이 시즌부터 브리지스톤이 타이어를 독점 공급하였다. 페라리가 팀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을 거두었고, 키미 라이코넨이 단 1점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그리고 이 해가 페라리의 마지막 우승이다 놀라운 것은 키미 라이코넨은 브라질 그랑프리 레이스 스타트 직전까진 포인트 리더에 무려 7점이나 뒤쳐진 포인트 3위였으나 기적적으로 우승해 가장 희박한 확률을 성공시켰다.


2. 시즌 전 이적 시장[편집]


2007 시즌 이적 드라이버
원 소속 팀국적드라이버이적한 팀
파일:Mild Seven Renault f1 logo.jpg파일:스페인 민간기.svg페르난도 알론소파일:보다폰 맥라렌 메르세데스 로고2.webp
파일:Mclaren Mercedes logo.png파일:핀란드 국기.svg키미 래이쾨넨파일:Scuderia Ferrari 2008 logo.jpg
파일:Williams F1 Team 2006 logo.png파일:호주 국기.svg마크 웨버파일:Red Bull Racing 2009 logo.png
2007 시즌 신인·복귀 드라이버 영입
국적드라이버소속 팀
파일:영국 국기.svg루이스 해밀턴파일:보다폰 맥라렌 메르세데스 로고2.webp
파일:핀란드 국기.svg헤이키 코발라이넨파일:ING Renault F1 Team logo.pn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알렉산더 부르츠파일:AT&T Williams logo.png
파일:독일 국기.svg아드리안 수틸파일:spyker f1.png
파일:영국 국기.svg앤서니 데이빗슨파일:Super Aguri logo.png
계약 만료·해지 드라이버
기존 소속 팀국적드라이버
파일:Mclaren Mercedes logo.png파일:콜롬비아 국기.svg후안 파블로 몬토야
파일:스페인 민간기.svg페드로 데 라 로사
파일:Scuderia Ferrari Marlboro logo.jpg파일:독일 국기.svg미하엘 슈마허
파일:Red Bull Racing 2009 logo.png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크리스티안 클리엔
파일:네덜란드 국기.svg로버트 둔보스
파일:BMW Sauber F1 Team.png파일:캐나다 국기.svg자크 빌르너브
파일:spyker f1.png파일:포르투갈 국기.svg티아고 몬테이로
파일:Super Aguri logo.png파일:일본 국기.svg이데 유지
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랭크 몽타니
파일:일본 국기.svg야마모토 사콘

많은 변동이 있었다. 우선, 통산 7회의 월드 챔피언에 오른 미하엘 슈마허가 지난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하며 페라리에 빈 자리가 발생했고, 이 자리는 맥라렌에 있던 키미 래이쾨넨이 대체하였다. 자연스레 빈 자리가 생긴 맥라렌에는 디펜딩 챔피언인 페르난도 알론소르노를 떠나 맥라렌으로 이적함으로써 채우게 되었다. 또한, 맥라렌은 후안 파블로 몬토야페드로 데 라 로사가 나간 빈 자리로 인해 추가 영입이 필요했고, 자신들이 키운 유망주이자 지난 시즌 GP2 챔피언인 루이스 해밀턴을 신인 드라이버로 영입하는 초강수를 두었다.[1]

3. 규정 변화[편집]


2007 시즌의 규정 변화
기술 규정레이스카 후미에 신호를 알리는 LED 설치
ECU마이크로소프트 MES에서 공급
레이스카의 연료는 5.75%의 바이오 연료여야 함.
스포팅 규정금요일은 4세트의 드라이 타이어 제공, 토, 일요일은 10세트의 드라이 타이어 제공
우천 상황이 아닐 경우 레이스에서 반드시 하드 타이어와 소프트 타이어를 1번 이상 사용
모든 팀의 써드 카 사용 금지
금요일 FP1, FP2의 세션 길이가 60분에서 90분으로 연장
토요일부터 엔진 교체 시 그리드 페널티 부여
SC 상황에서 SC가 메인 스트레이트를 지나기 전까지 피트에서 나올 수 없음
당해 시즌 동안 30,000 km 이상의 현역 레이스카 테스트 금지

4. 2007 시즌 라인업[편집]


  • 굵은 글씨는 소속을 옮긴 드라이버 또는 신인 드라이버, 대체 드라이버.

#팀 로고팀 국적섀시
(파워유닛)
드라이버
번호국적이름출전 라운드
1파일:보다폰 맥라렌 메르세데스 로고2.webp
보다폰 맥라렌 메르세데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MP4-22
(Mercedes FO 108T)
1파일:스페인 민간기.svg페르난도 알론소All
2파일:영국 국기.svg루이스 해밀턴
2파일:ING Renault F1 Team logo.png
ING 르노 F1 팀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R27
(Renault RS27)
3파일:이탈리아 국기.svg지안카를로 피지켈라All
4파일:핀란드 국기.svg헤이키 코발라이넨
3파일:Scuderia Ferrari 2008 logo.jpg
스쿠데리아 페라리 말보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F2007
(Ferrari 056 2007)
5 파일:브라질 국기.svg펠리페 마싸All
6 파일:핀란드 국기.svg키미 래이쾨넨
4파일:Logo_Honda_F1_Racing.svg.png
혼다 레이싱 F1 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RA107
(Honda RA807E)
7
파일:영국 국기.svg젠슨 버튼All
8
파일:브라질 국기.svg루벤스 바리첼로
5파일:BMW Sauber F1 Team.png
BMW 자우버 F1 팀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F1.07
(BMW P86/7)
9파일:독일 국기.svg닉 하이트펠트All
10파일:폴란드 국기.svg로버트 쿠비차1-6, 8-17
파일:독일 국기.svg제바스티안 페텔7
6파일:Panasonic Toyota Racing logo.png
파나소닉 토요타 레이싱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TF107
(Toyota RVX-07)
11파일:독일 국기.svg랄프 슈마허All
12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야르노 트룰리
7파일:Red Bull Racing 2009 logo.png
레드불 레이싱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2]
RB3
(Renault RS27)
14파일:영국 국기.svg데이빗 쿨싸드All
15파일:호주 국기.svg마크 웨버
8파일:AT&T Williams logo.png
AT&T 윌리엄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FW29
(Toyota RVX-07)
16파일:독일 국기.svg니코 로즈버그All
17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알렉산더 부르츠1-16
파일:일본 국기.svg나카지마 카즈키17
9파일:Scuderia Toro rosso 2009 logo.png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STR2
(Ferrari 056 2006)
18파일:이탈리아 국기.svg비탄토니오 리우치All
19파일:미국 국기.svg스캇 스피드1-10
파일:독일 국기.svg제바스티안 페텔11-17
10파일:spyker f1.png
에티하드 알다르 스파이커 F1 팀[3]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F8-VII
F8-VIIB
(Ferrari 056 2006)
20파일:독일 국기.svg아드리안 수틸All
21파일:네덜란드 국기.svg크리스티얀 알버스1-9
파일:독일 국기.svg마르쿠스 빈켈호크10
파일:일본 국기.svg야마모토 사콘11-17
11파일:Super Aguri logo.png
슈퍼 아구리 F1 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SA07
(Honda RA807E)
22파일:일본 국기.svg사토 타쿠마All
23파일:영국 국기.svg앤서니 데이빗슨

5. 2007 시즌 일정[편집]


라운드경기일그랑프리(도시)서킷드라이버 우승컨스트럭터 우승
13/18호주(멜버른)앨버트 파크 서킷키미 래이쾨넨페라리
24/8말레이시아(쿠알라룸프르)세팡 인터내셔널 서킷페르난도 알론소맥라렌 - 메르세데스
34/15바레인(사키르)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펠리페 마싸페라리
45/13스페인(카탈루냐)카탈루냐 서킷펠리페 마싸페라리
55/27모나코(몬테카를로)모나코 서킷페르난도 알론소맥라렌 - 메르세데스
66/10캐나다(몬트리올)질 빌르너브 서킷루이스 해밀턴맥라렌 - 메르세데스
76/17미국(인디애나폴리스)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루이스 해밀턴맥라렌 - 메르세데스
87/1프랑스(마그니 쿠르)느베르 마그니-쿠르 서킷키미 래이쾨넨페라리
97/8영국(실버스톤)실버스톤 서킷키미 래이쾨넨페라리
107/22유럽(뉘르부르크)뉘르부르크링페르난도 알론소맥라렌 - 메르세데스
118/5헝가리(부다페스트)헝가로링루이스 해밀턴맥라렌 - 메르세데스
128/26터키(이스탄불)이스탄불 파크펠리페 마싸페라리
139/9이탈리아(몬차)몬자 서킷페르난도 알론소맥라렌 - 메르세데스
149/16벨기에(프랑코샹)스파-프랑코샹 서킷키미 래이쾨넨페라리
159/30일본(오야마)후지 스피드웨이루이스 해밀턴맥라렌 - 메르세데스
1610/7중국(상하이)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키미 래이쾨넨페라리
1710/21브라질(상파울루)호세 카를로스 파시 서킷키미 래이쾨넨페라리


6. 시즌 상세[편집]



6.1. 1R ~ 5R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호주, 말레이시아, 바레인, 스페인, 모나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포뮬러 1/2007시즌/1R~5R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2. 6R ~ 11R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캐나다, 미국, 프랑스, 영국, 유럽, 헝가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포뮬러 1/2007시즌/6R~11R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3. 12R ~ 17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터키, 이탈리아, 벨기에, 일본, 중국, 브라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포뮬러 1/2007시즌/12R~17R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편집]



7.1. 드라이버 포인트[편집]


파일:Kimi Raikkonen 2007 champion.jpg
2007 포뮬러 1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 - 키미 래이쾨넨

WORLD DRIVERS CHAMPIONSHIP
1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페라리110WDC - V1
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2.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109
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1.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맥라렌109
4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94
59.
파일:독일 국기.svg

닉 하이트펠트
BMW 자우버61
610.
파일:폴란드 국기.svg

로버트 쿠비차
BMW 자우버397R 부상으로 결장
7
파일:르노 2015 로고.png
4.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르노30
8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르노21
916.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윌리엄스20
1014.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쿨싸드
레드불14
111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알렉산더 부르츠
윌리엄스131-16R 출전
1210.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10
131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토요타8
1410. 19.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BMW 자우버67R 출전[4]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토로 로쏘11-17R 출전[5]
15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8.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혼다6
1611.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토요타5
1722. 사토 타쿠마슈퍼 아구리4
18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8. 비탄토니오 리우치토로 로쏘3
1920. 아드리안 수틸스파이커1
20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7. 루벤스 바리첼로혼다0
21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9. 스캇 스피드토로 로쏘01-10R 출전
2217. 나카지마 카즈키윌리엄스017R 출전[6]
2323. 앤서니 데이빗슨슈퍼 아구리0
2421. 야마모토 사콘스파이커011-17R 출전[7]
2521. 크리스티얀 알버스스파이커01-9R 출전
-21. 마르쿠스 빈켈호크스파이커010R 출전[8]

7.2. 컨스트럭터 포인트[편집]


파일:Ferrari f1 2007.jpg
2007 포뮬러 1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 - 스쿠데리아 페라리 말보로

WORLD CONSTRUCTORS CHAMPIONSHIP
1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204WCC - V15
2BMW 자우버101
3
파일:르노 2015 로고.png
르노51
4윌리엄스 - 토요타33
5레드불 - 르노24
6토요타13
7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토로 로쏘 - 페라리8
8
파일:혼다 자동차 로고.png
혼다6
9슈퍼 아구리 - 혼다4
10스파이커 - 페라리1
-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0전체 포인트 몰수[9][10]



[1] 보통 빅팀에서 루키가 데뷔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제 아무리 초특급 유망주라 해도 하위권이나 중위권 팀에서 데뷔하여 실력을 입증한 후 빅팀으로 이적한 케이스들이 대다수였기 때문이었다.[2] 오스트리아 국적 라이센스가 허가되면서 레드불의 본 국적인 오스트리아 국적으로 참가하였다.[3] 스파이커 MF1 팀에서 스파이커 F1 팀으로 이번 시즌 팀 네임을 확정지었다.[4] 쿠비차의 대체 드라이버[5] 스피드의 대체 드라이버[6] 부르츠의 대체 드라이버[7] 알버스의 대체 드라이버[8] 알버스의 대체 드라이버[9] 기존 포인트 166점[10] 스파이 게이트 참조.